고려대학교 의료빅데이터

연구내용

 
연구과제명 총 연구기간 부처명
바이오 데이터 엔지니어 양성사업(2차) 2021.07.01 ~ 2022.01.31 과학기술정보통신부
딥러닝 자연어처리 모델 기반의 정보 추출을 통한 대규모 의료 텍스트 기록의 정형화 기법 개발 2021.06.01 ~ 2024.05.31 교육부
희귀 및 복잡 심장질환 조기진단을 위한 3차원 심장 영상 기반 최소 전극 유도 심장 파형 재합성 딥러닝 모델 개발 2021.06.01 ~ 2024.05.31 교육부
빅데이터(CDM)부문 임상연구_심혈관계 사건 발생에 대한 평생 콜레스테롤 노출 추정치 및 콜레스테롤 변동성 간의 영향도 비교 2021.05.01 ~ 2022.04.30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
안전역이 좁은 격리자의 모니터링을 위한 AIOT(AI+IOT) 기반 스마트 비대면 통합관리시스템 고도화 기술 개발 2021.04.01 ~ 2023.12.31 행정안전부
학제간 연구회_의료 자연어처리 연구회 2021.03.01 ~ 2022.02.28 고려대학교
재난의료 상황 시 임시의료지원 시설 개발 2020.12.15 ~ 2023.12.14 과학기술정보통신부
바이오 데이터 엔지니어 양성사업(1차) 2020.09.01 ~ 2021.09.30 과학기술정보통신부
정밀의료 빅데이터 임상 데이터웨어하우스 구축 및 서비스 2020.12.21 ~ 2021.10.20 (재)강원테크노파크
라이프로그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사업 2020.09.23 ~ 2022.12.31 과학기술정보통신부
의료빅데이터 기반 IoT-PoC 소변검사 서비스 플랫폼 개발 2020.07.23 ~ 2022.07.22 중소벤처기업부
CDM 기반 알고리즘 진료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 개발과 확산 2020.04.01 ~ 2022.12.31 산업통상자원부
클라우드 기반 공통데이터모델 보안관리 및 운영 네트워크 개발 2019.07.25 ~ 2021.12.31 보건복지부
CDM 기반의 지능형 진료 가이드 알고리즘 개발과 확산을 위한 CDSS 플랫폼 개발 2019.05.01 ~ 2021.12.31 산업통상자원부
공통데이터모델 기발 국내 표준화 및 익명화 가이드라인 수립 2019.05.01 ~ 2022.12.31 산업통상자원부
감염성질환 데이터의 CDM 확장모델 개발 및 적용 2019.04.17 ~ 2021.12.31 보건복지부
병리, 심전도, 심초음파 검사결과 비정형데이터의 CDM 확장모델 개발 및 적용을 위한 Tool 개발 2019.04.17 ~ 2021.12.31 보건복지부
선행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분산형 바이오헬스 통합 데이터망 구축 기술 개발 2018.04.01 ~ 2020.12.31 산업통상자원부

연구내용

 

신종 감염병 대응체계 고도화 기술개발

안전역이 좁은 격리자의 모니터링을 위한 AIOT(AI+IOT) 기반 스마트 비대면 통합관리시스템 고도화 기술 개발
  • [행정안전부/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] 총 연구기간 : 2021.04.01 ~ 2023.12.31
    ▪ 질병 연관 생체데이터 확보 및 지표별 진단기준 표준화
    ▪ 감염병으로 인한 자가 격리자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시스템 개발
    ▪ 생체데이터를 통한 비대면 건강 이상 상태진단 기술 개발
    ▪ 자가격리자의 스트레스 지수 평가 기술 개발

연구내용

 

고위험 재난의료 및 산업재해 대응기술 개발 (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융합연구단)

재난의료 상황 시 임시의료지원 시설 개발
  • [과학기술정보통신부/국가과학기술연구회] 총 연구기간 : 2020.12.15 ~ 2023.12.14
    ▪ 호흡기 감염질환의 유의미한 임상 의료데이터 확보
    ▪ 의료데이터를 기반으로 호흡기 감염질환의 상태 예측 기술 개발
    ▪ 지능형 에이전트 기반의 호흡기 감염 질환 비대면 문진/안내 방법 개발
    ▪ 정신건강상태 평가를 위한 지능형 에이전트 기반의 비대면 문진/안내 방법 개발

연구내용

 

바이오 데이터 엔지니어 양성사업

인력양성 사업 거점기관 수행
  • [과학기술정보통신부/한국바이오연구조합] 총 연구기간 1차 : 2020.09.01 ~ 2021.09.30
    2차 : 2021.07.01 ~ 2022.01.31
    ▪ 바이오 빅데이터 활용을 통한 연구 아이디어의 검증 및 가치 창출 플랫폼으로 발전 지원
    ▪ 참여 청년들이 데이터 엔지니어에게 필요한 역량을 확보해 나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 지원
    ▪ 중장기적으로 바이오분야 데이터 전문가 양성 및 산업체 공급을 통한 인력수급 미스매칭 해소에 기여

연구내용

 

정밀의료 빅데이터 임상 데이터웨어하우스 구축 및 서비스

  • [(재)강원테크노파크] 총 연구기간 : 2020.12.21 ~ 2021.10.20
    ▪ 재정이 열악한 지역병원, 관련 기업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빅데이터 구축-산업육성
    ▪ 강원도 전략 산업인 디지털 헬스케어를 완성하기 위한 의료 빅데이터활용 기반 구축
    ▪ CDW 구축으로 빅데이터 확보
    ▪ 의료서비스 증대를 위한 데이터 수집/정제/처리/분석 방법 구축
    ▪ 클라우드 CDW 구축 및 분석환경 서비스 개발
    ▪ 다기관 고품질 의료데이터를 활용한 신개념 연구환경 구축
    ▪ 빅데이터 수집, 검색, 분석 플랫폼 관리 기능이 포함된 클라우드 CDW 사용자 포털 개발

연구내용

 

라이프로그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사업

  • [과학기술정보통신부/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] 총 연구기간 : 2020.09.23 ~ 2022.12.31
    ▪ 라이프로그 데이터 활용성 증대를 위한 상급 종합병원의 의료데이터 축척
    ▪ 인공지능 AI기술 의료서비스 창출을 위한 라이프로그 파편화 문제 해결
    ▪ 정확한 의료서비스 제공 및 만성질환 문제 개선을 위한 체계적인 데이터 수집체계 구축
    ▪ 다기관 라이프로그 빅데이터 통합플랫폼의 핵심 데이터 제공

연구내용

 

CDM 기반 알고리즘 진료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 개발과 확산

CAPs(CDM-based Algorithm&treatment Protocol service system)
  • [산업기술통상자원부/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] 총 연구기간 : 2020.04.01 ~ 2022.12.31
    ▪ CDM 데이터를 기반으로 5종의 알고리즘과 53종의 프로토콜을 개발
    ▪ CDM 기반 알고리즘과 진료프로토콜 서비스 플랫폼을 중소형병원 대상으로 서비스

연구내용

 

의료빅데이터 기반 IoT-PoC 소변검사 서비스 플랫폼 개발

  • [중소벤처기업부/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] 총 연구기간 : 2020.07.23 ~ 2022.07.22
    ▪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 질환데이터를 확보하고 의료빅데이터연구소에서 해당 의료데이터를 공통데이터모델(CDM)로 변환된 의료빅데이터를 구축
    ▪ 100만건 이상의 소변검사 및 환자의 질환데이터를 기반으로 여러가지 질환과의 역학관계를 분석함
    ▪ 10종 소변 검사의 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함

연구내용

 

클라우드 기반 공통데이터모델 보안관리 및 운영 네트워트 개발

  • [보건복지부/한국보건산업진흥원] 총 연구기간 : 2019.07.25 ~ 2021.12.31
    ▪ CDM 데이터의 효율적인 활용과 안전한 정보보호 및 보안을 위한 클라우드용 CDM DB 구축
    ▪ 의료데이터의 보안 문제를 개석하기 위한 CDM DB의 비식별조치 프로세스 개발
    ▪ 클라우드 CDM 가명화 전략 수립

연구내용

CDM 기반의 지능형 진료 가이드 알고리즘 개발과 확산을 위한 CDSS 플랫폼 개발

CANE(CDM Based intelligent Algorithm Network Environment platform)
  • [산업통상자원부/한국산업기술평가 관리원] 총 연구기간 : 2019.05.01~2021.12.31
    ▪ CDM기반 데이터를 이용한 지능형 진료 가이드 알고리즘 개발
    ▪ CDM기반 정밀의료 알고리즘이 탑재된 CDSS 개발을 통한 분산 연구망 환경의 플랫폼(CANE) 구축
    ▪ 다기관 후향적 데이터를 활용한 진단 알고리즘의 성능/안정성/일반화 가능성 검증
    ▪ 고려대학교의료원은 2종의 진단 알고리즘을 개발 및 검증을 수행하고 3차/2차 병원을 통한 서비스 실증 수행

연구내용

 

공통데이터모델 기발 국내 표준화 및 익명화 가이드라인 수립

  • [산업통상자원부/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] 총 연구기간 : 2019.05.01 ~ 2022.12.31
    ▪ 공통데이터(CDM) 모델 기반 국내 표준화 및 익명화 가이드라인 수립 및 글로벌 제안 및 채택을 목표로 한 공통데이터 모델 (CDM) 기반 국내 표준화 및 익명화 가이드라인 수립

연구내용

 

감염성질환 데이터의 CDM 확장모델 개발 및 적용

  • [보건복지부/한국보건산업진흥원] 총 연구기간 : 2019.04.17 ~ 2021.12.31
    ▪ 감염성 질환 데이터 CDM 확장모델 개발 및 샘플데이터 적용 및 검증
    ▪ CDM 확장모델 툴 개발 및 적용
    ▪ 구축된 감염성 질환 데이터 CDM 확장모델 DB를 활용한 연구 수행
    ▪ 환자위치정보 CDM DB를 이용하여 이동경로 및 전염병 전파 경로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여줄 뿐 아니라 의료 서비스 질 향상 기대

연구내용

 

병리, 심전도, 심초음파 검사결과 비정형데이터의 CDM 확장모델 개발 및 적용을 위한 Tool 개발

  • [보건복지부/한국보건산업진흥원] 총 연구기간 : 2019.04.17 ~ 2021.12.31
    ▪ 병리-심전도-심초음파 검사결과 비정형 문서데이터 ODS 구축
    ▪ 다기관 공통데이터모델(CDM) 데이터베이스를 응용 및 활용
    ▪ 비정형문서 데이터를 적재하기 위한 타겟 키워드 추출 및 ETL 자동화 엔진 개발
    ▪ 키워드 추출 및 자동 ETL 엔진을 통한 3개 이상의 3차 의료기관에서의 병리-심전도-심초음파 CDM 데이터베이스 구축

연구내용

 

선행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분산형 바이오헬스 통합 데이터망 구축 기술 개발

 
 
 
  • [산업통상자원부/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] 총 연구기간 : 2018.04.01 ~ 2020.12.31
    ▪ 총 27개 이상 기관의 임상데이터를 CDM으로 전환하여 다기관 데이터 네트워크 구축
    ▪ EMR → CDM 변환 / 분산형 헬스케어 데이터 코디네이팅 플랫폼 (FeederNet) 서비스 연계
FUNCTION 01
진료/간호
  • 환자안전재고
    환자안전 제고

    환자정보 통합 제공으로 정보 파악시간 단축

    처방 정합성 체크 강화

    CP, 항생제 처방 기능 강화

  • 의료 질 향상
    의료 질 향상

    환자 진료 및 간호업무의 연속성 제고

    간호기록 문구 표준화, 간호활동의 속성화

    다학제 및 진료 센터 진료 환경 제공

  • 업무 생산성 증대
    업무 생산성 증대

    의료진 개인 My page 제공

    UX 기반 직관적 UI 구성

    연계 업무의 통합화면 제공

    표준화된 간호 기록작성 및 연계

  • 환자 서비스 강화
    환자 서비스 강화

    환자 Tool-Bar를 통한 One-Stop 창구 업무

    통합 외래 예약으로 최적화된 일정 제시

    통합 진료비 수납으로 신속한 수납

    유연한 수납으로 분할/다중카드/현금 수납 지원

  • 업무의 효율화
    업무의 효율화

    사전 기준에 따른 선별 심사 및 심사 표준화로 업무 효율성 증대

    심사 대상 자동 분류 기능으로 심사 업무 효율화

    심사 업무 지식공유로 심사 역량 강화

  • 병원 운영 효율성 증진
    병원 운영 효율성 증진

    상병별 평균 재원일수 관리로 병상 회전율 증진

    통합 병실 배정으로 병실 운영 효율화

    사전 모니터링 및 지표사전 관리로 효율적인 심평원 평가 대응

  • 환자안전 강화
    환자안전 강화

    증상별 약물유해반응 표준화로 정확한 유해반응 관리

    CVR 관리로 환자 이상치 발견시 신속 대응 가능

    확장형 감염사고 관리기능으로 감염사고 대응력 제고

  • 환자 서비스 강화
    환자 서비스 강화

    맞춤형 식사 통합관리로 환자 급식 만족도 향상

    검사실 통합예약 기능을 통해 환자 동선 최소화

    환자 Tool-Bar를 통해 One-Stop 검사 업무

  • 업무 효율화
    업무 효율화

    약품 출고/반납에 따른 실시간 재고관리

    메뉴/식수관리 및 재료발주 간편화로 업무 편의성 향상

    일괄 예약 및 자동 판정 기능 제공으로 업무 효율성 증대

    서식생성기능을 활용하여 기능검사실의 다양한 결과지를 효율적으로 관리

  • 신속한 재무처리
    신속한 재무처리

    전자증빙 구현으로 종이증빙 관리비용 Zero화

    표준적요 적용으로 사용자 전표작성 편리성 제고 (부서별/계정별/목적별)

    미결내역 알림기능 제공으로 결산마감 지연 방지

  • 의료 공급망 최적화
    의료 공급망 최적화

    실시간 진료재료 처방정보 연동 발주로 적정재고, 적기 공급 실현

    의료장비 취득부터 폐기까지 생애 관리로 Down-time 최소화

신속하고 정확한 검사결과 제공을 통한

최첨단 검사서비스
  • 검사결과 실시간
    처리 및 제공

  • 업무의 편리성
    및 재정립

  • 환자 중심의
    의료서비스 극대화

비효율적 요소제거를 통한 기능개선
현행 시스템 구조의 큰 변화 없이 통합 운영 및 효율성 안정성 확보
  • 진료 실시간 검사결과 공유

    진료 실시간
    검사결과 공유

  • 수작업의 전산화 및 오류제거

    수작업의 전산화
    및 오류제거

  • 검사정보의 체계적 관리

    검사정보의
    체계적 관리

  • 진료정보의 다양한 통계지원

    진료정보의 다양한
    통계 지원